장 보러 갔다가 신선해 보이는 채소를 한가득 담아 왔는데, 며칠 지나면 시들거나 물러져서 버리는 일이 반복된다면 정말 아깝죠. 저도 예전엔 채소를 냉장고에 그냥 넣어두기만 했는데, 그렇게 하면 금세 물이 생기고 냉장고 안이 채소 썩는 냄새로 가득 찼어요.
그런데 몇 가지 방법만 실천해 보니까 채소를 정말 오랫동안 싱싱하게 보관할 수 있었습니다. 그간 직접 해본 노하우를 오늘 공유해드릴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채소별 보관 방법 및 채소 오래 싱싱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지금 확인 하세요.

채소마다 적절한 보관 위치가 다릅니다
대부분 채소는 무조건 냉장고에 넣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채소의 종류에 따라 보관 위치를 달리해야 합니다. 뿌리채소처럼 습기에 강한 채소는 서늘하고 통풍 잘 되는 실온 보관이 가능하지만, 잎채소나 수분 많은 채소는 냉장 보관이 기본입니다.
상추나 깻잎 같은 잎채소는 냉장고 안에서도 가장 온도가 낮은 냉장칸이 아니라, 온도 변화가 적은 야채칸에 보관해야 금방 시들지 않습니다.
반면 감자나 고구마는 냉장고에 넣으면 전분이 당으로 바뀌어 맛이 변하고 쉽게 무르기 때문에 상온 보관이 좋습니다.
보관 전에 어떤 채소인지, 냉장인지 실온인지부터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채소 수명을 확 늘릴 수 있습니다.
채소 보관 전 꼭 확인해야 할 것
채소를 보관하기 전에 세척을 할지 말지 고민이 되실 수 있어요. 대부분의 채소는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척 후 남은 수분이 채소를 빨리 상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시장이나 마트에서 채소를 사오면 먼저 상태를 확인하고, 흙이 너무 많이 묻었거나 껍질이 젖어 있는 건 키친타월로 가볍게 닦아줍니다. 그다음 한 묶음씩 분리해서 키친타월로 싸고 지퍼백이나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 보관합니다.
이렇게 하면 채소끼리 눌려서 물러지는 걸 방지하고, 습기를 흡수해서 오래 신선하게 유지됩니다.
자주 쓰는 채소별 보관 팁
채소 종류마다 보관 요령이 다릅니다. 자주 먹는 대표적인 채소들만 정리해보겠습니다.
상추는 흐르는 물에 씻지 말고 마른 키친타월로 닦아준 뒤, 젖은 면포나 키친타월로 싼 후 밀폐용기에 넣으면 오래 갑니다. 깻잎은 물에 살짝 적신 키친타월을 깔고, 깻잎 한 장씩 겹치지 않도록 펴서 그 위에 올린 뒤 한 겹씩 덮어주면 신선도가 오래 유지됩니다.
대파는 뿌리 부분만 살짝 남기고 썰어 지퍼백에 담아 냉동 보관하면, 국 끓일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단, 생으로 먹을 예정이라면 잘라서 냉장 보관하면서 물기 제거에 주의해야 합니다.
브로콜리나 콜리플라워는 물 세척 없이 랩으로 느슨하게 감싸 냉장 보관합니다. 습기에 약하니 통풍이 될 수 있도록 너무 꽉 싸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채소 보관 용기도 신경 써야 합니다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용기만 사용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요즘은 채소 보관용 밀폐용기나 지퍼백도 상당히 다양하게 나와 있습니다. 중요한 건 통풍성과 수분 조절 기능입니다.
저는 김장용 김치통을 재활용해서 야채를 보관해본 적도 있는데, 밀폐는 잘 되지만 통풍이 되지 않아 오히려 물이 고여 채소가 금방 무르더라고요. 그 이후로는 야채 전용 지퍼백이나 구멍이 송송 뚫린 보관용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관 용기 안에는 키친타월을 한 장 깔아두는 것만으로도 수분 조절에 큰 도움이 됩니다. 수분이 맺히면 채소에 직접 닿지 않도록 키친타월이 중간 역할을 해주는 셈이죠.
채소 상태 자주 점검 하자
아무리 잘 보관해도 시간이 지나면 상태가 변합니다. 저는 주말마다 냉장고 안의 채소 상태를 한 번씩 확인하는데, 이것만으로도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조금이라도 시들기 시작한 잎채소는 빨리 먹을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남은 채소는 볶음이나 나물 등으로 한 번에 처리합니다. 냉동 보관이 가능한 채소는 얼려두고, 냉동이 어려운 건 국이나 찌개용으로 미리 다듬어 보관해둡니다.
이런 습관이 자리 잡히면 채소가 상하기 전에 미리미리 사용할 수 있어서 냉장고 안이 훨씬 깔끔해지고, 식비도 줄어드는 걸 느끼게 됩니다.
마무리
채소를 오래 싱싱하게 보관하려면, 꼭 특별한 냉장고나 보관용기가 필요한 건 아닙니다. 중요한 건 채소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수분 조절과 통풍에 신경 써서 보관하는 것이죠.
세척 여부, 키친타월 활용, 용기 선택, 채소별 보관 위치만 제대로 지켜도 채소가 시들기 전에 훨씬 오래 유지되고, 식사 준비도 훨씬 수월해집니다.
지금 냉장고 속 채소가 시들시들하다면, 오늘 소개한 방법으로 한 번 정리해보세요. 다음 주 장 보러 갈 때까지 신선함이 유지되는 걸 직접 느끼실 겁니다.